관측기(Observer, 옵저버, =탐지기)는 자바에디션 1.11 버전에 추가된 블록으로, 관측기 앞에 있는 블록의 변화에 따라 뒷쪽으로 레드스톤 신호를 발생시킵니다. 곡괭이로 채취할 수 있습니다. 관측기의 앞모습입니다. 앞쪽이 얼굴처럼 생겼습니다. 눈 앞에 있는 블록을 감시한다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. 관측기 윗면에는 화살표 무늬가 있는데 화살표 방향으로 레드스톤 신호를 보내는 것을 나타낸 듯 합니다. 관측기의 뒷모습입니다. 뒷쪽 중앙에 빨간 램프같은게 있는데 관측기가 관측중인 블록 상태가 바뀌면 불이 잠깐 들어옵니다. 관측기가 블록 상태 변화를 감지하면 레드스톤 신호를 방출하는데 가장 높은 레벨인 15레벨을 2 게임틱(=1 레드스톤 틱)동안 방출한다고 합니다. 저번에 여러 작물들의 자동 농장 만드는 법..
과녁(Target)은 투사체가 닿으면 잠깐동안 레드스톤 신호를 발생하는 블록입니다. 1.16 버전에 추가될 예정입니다. 아무 도구로나 부숴도 얻을 수 있지만 괭이로 가장 빨리 부술 수 있습니다. 건초 더미로 만들어져서 그런지 불에 탑니다. 과녁은 화살, 삼지창, 눈덩이, 계란, 화염구 등등 여러 종류의 투사체로 작동시킬 수 있습니다. 엔더 진주, 투척용 포션 등 작동하는게 많다고 하네요. 레드스톤 신호는 버튼이나 압력판을 눌렀을 때 처럼 20게임 틱(1초)이 지속된다고 합니다. 그런데 눈덩이나 계란같은 투사체는 확실히 지속시간이 짧습니다. 투사체 종류에 따라 지속시간이 달라지는 듯 합니다. 투사체를 과녁의 중앙에 얼마나 가깝게 맞췄는지에 따라 레드스톤 신호의 강도가 1에서 15까지 발생됩니다. 과녁의 정..
나침반(compass)은 월드 스폰 지점을 표시하는 아이템입니다. 월드 스폰은 월드에 정해진 스폰 지점으로, 월드가 생성됐을 때 스폰되는 장소입니다. 침대를 사용해 개인 스폰 지점을 만들더라도 월드 스폰은 변하지 않습니다. 아이템 칸, 손, 인벤토리, 아이템 액자 등 어느 위치에서나 나침반의 바늘은 월드 스폰 위치를 가리킵니다. 나침반 바늘의 방향은 들고 있는 사람에 따라 상대적으로 보입니다. 네더나 엔드에서는 월드 스폰이 없기 때문에 바늘이 무작위로 돌아갑니다. 위 사진은 월드 스폰 지점을 나타낸 모습입니다. 노란색 좌표가 월드 스폰이고, 멀티 모드에서는 월드 스폰 주변 10x10 블록에서 스폰됩니다. 싱글 모드에서는 월드 스폰 주변 21x21 블록에서 스폰됩니다. 마인크래프트 나침반 조합법 재료: 철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