마인크래프트 좀비 막는 문 7가지
- 자바에디션(JE)/팁
- 2020. 6. 3.
마던을 일주일 했더니 컨텐츠가 다 떨어졌습니다. 그래서 오랜만에 마인크래프트를 다시 켜봤네요.
좀비는 지역 난이도에 따라 10%까지 나무문을 부술 수 있는 확률이 있습니다.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철 문도 최대 1% 확률로 부술 수 있는 확률이 있다고 합니다.
좀비가 문을 부숴서 몬스터가 집 안을 휘젓고 다니면 귀찮아지겠죠? 좀비 막는 문 7가지를 알아보겠습니다. (참고 링크)
(1) 90도 돌린 문
일반 문이랑 동일해보입니다. 그런데 좀비가 이 문을 못부숩니다. 왜 그럴까요?
사실 옆을 보고 설치한 문이라 그렇습니다. 위 사진의 상태가 사실 문이 '열린' 상태라 좀비가 닫힌 문으로 인식하지 못해 부수지 못하는 듯 합니다.
일단 1.15.2 버전 기준으로는 좀비가 이 문을 못부수는데 향후 패치될 가능성도 있어보입니다.
- 장점
- 간단함
- 다른 재료가 필요하지 않음
- 단점
- 향후 패치될 수도 있음
(2) 철문
철문은 자바에디션에서는 좀비가 부술 수 없습니다. 단, 베드락에디션에서는 1% 확률로 좀비가 부술 수 있습니다.
- 장점
- 좀비를 확실히 막을 수 있음
- 단점
-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부서질 수 있음
- 나무문에 비해 열고닫기 귀찮음
(3) 모래 함정문
위 사진과 같이 문 위에 모래나 자갈처럼 중력의 영향을 받아 떨어지는 블록을 설치하고 그 앞뒤로 블록을 하나 더 놔줍니다.
좀비가 문을 부수고 들어오면 모래가 떨어져 안쪽에 갇힙니다.
- 장점: ?
- 단점
- 문이 부서지면 재설치를 해야 함
(4) 울타리문
울타리문은 좀비가 열고 닫을 수 없어서 간단하게 막을 수 있습니다.
- 장점
- 간편함
- 단점
- 막혀있지 않아 크리퍼가 터질 수도 있고 스켈레톤이 화살을 쏠 수 있음
- 주민이 통과할 수 없음
(5) 문 앞에 한칸 파기
문 앞에 땅을 한 칸 파면 문이 부서지는 걸 방지할 수 있습니다. 좌우로 한 칸도 파주세요.
원리는 문을 부수려면 좀비가 문 상단을 지속적으로 때려야 하는데, 문 앞에 한칸을 파두면 그게 불가능하니 계속 점프하면서 때리게 됩니다. 점프 할 때마다 문을 부순 게이지가 리셋이 돼서 문이 부서지지 않습니다.
이렇게 문 앞의 옆 칸을 막으면 한 칸만 파도 됩니다.
- 장점
- 추가 재료가 필요하지 않음
- 단점
- 좀비가 문 부수는걸 계속 시도해서 문을 부수는 소리가 남
(6) 반블록 놓기
문 앞에 반블록을 이렇게 문 윗칸의 윗쪽에 설치합니다. 그러면 플레이어는 Shift를 눌러 웅크린 채로 통과할 수 있는데 좀비나 주민은 통과할 수 없습니다.
단, 포켓 에디션 버전에서는 웅크려도 반블록 밑을 통과할 수 없다고 합니다.
문을 없애고 반블록만 설치해도 됩니다만 이때는 아기 좀비 등 크기가 작은 몹들은 통과가 가능합니다. 스켈레톤이 화살을 발사할 수도 있고요.
- 장점
- 재료가 간단함
- 단점
- PE(포켓에디션)에서는 안됨
- 크기 작은 몹 통과 가능
- 스켈레톤 화살 통과 가능
(7) 카펫 설치하기
문 앞의 칸을 4칸 이상의 구멍을 판 다음에 그 칸들을 카펫으로 메웁니다. 그리고 맨 위에도 위 사진처럼 카펫을 놓습니다.
그림을 대충 그려봤는데 이런식입니다. 빨간색이 카펫이고, 갈색이 문이라고 생각해주세요.
그러면 몹이 구멍을 낭떠러지로 인식해 길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하네요. 거미는 가끔 통과한다고 합니다. 그런데 거미는 문을 열지 못하니까요 뭐 괜찮을 듯 합니다.
몇 년 동안 패치가 되지 않은 방법이니 향후 패치 가능성은 없어 보입니다
- 장점
- 이전 몇 년간 사용된 검증된 방법 (향후 패치가능성 적음)
- 단점
- 문 앞의 땅에 4칸 이상 구멍을 파야 함
'자바에디션(JE) > 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마인크래프트 자동 선인장 농장 만들기 (0) | 2020.08.13 |
---|---|
마인크래프트 자동 호박, 수박 농장 만들기 (0) | 2020.08.12 |
마인크래프트 자바 에디션(PC) 조작법 (1) | 2020.05.20 |
마인크래프트 날카로움 1000레벨 다이아몬드 검 만들기 (14) | 2020.05.09 |
마인크래프트 디버그 막대기 얻는 법, 사용법 (0) | 2020.05.09 |